반응형
골다공증의 질병코드는 국제질병분류(ICD) 및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낮아지고 강도가 약해져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만성질환으로, 질병 코드에 따라 원인과 동반 질환 여부가 구분됩니다.
1. 골다공증 질병코드 (ICD-10 및 KCD-7 기준)
골다공증은 M80~M82 코드 범위에 해당하며, 원인 및 동반 질환 여부에 따라 세부 코드가 다릅니다.
① 병적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M80)
병적 골절이 있는 골다공증의 경우 M80번 코드가 적용됩니다.
- M80.0 : 폐경 후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0.1 : 약물 유발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0.2 : 영양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 및 병적 골절
- M80.3 : 기타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0.4 : 특발성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0.8 : 기타 특정된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0.9 : 상세불명의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② 병적 골절이 없는 골다공증 (M81)
골절이 없는 일반적인 골다공증의 경우 M81번 코드가 적용됩니다.
- M81.0 : 폐경 후 골다공증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M81.1 : 약물 유발 골다공증 (Drug-induced osteoporosis)
- M81.2 : 영양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 (Osteoporosis due to malabsorption)
- M81.3 :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다공증
- M81.4 : 특발성 골다공증 (Idiopathic osteoporosis)
- M81.8 : 기타 특정된 골다공증
- M81.9 : 상세불명의 골다공증
③ 골다공증성 다발성 골절 (M82)
골다공증으로 인해 다발성 골절이 발생한 경우 M82번 코드가 적용됩니다.
- M82.0 : 선천적 질환과 관련된 골다공증
- M82.8 : 기타 특정된 질환으로 인한 골다공증
2. 골다공증 질병코드 (ICD-11 기준)
ICD-11에서는 더욱 세분화된 코드가 사용됩니다.
- FB80.0 :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 FB80.1 : 폐경 후 골다공증
- FB80.2 :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
- FB80.3 : 영양결핍 유발 골다공증
- FB80.4 : 기타 특정된 골다공증
- FB80.Z : 상세불명의 골다공증
3. 골다공증의 건강보험 적용 여부
골다공증은 만성질환으로 관리가 필요하며, 골밀도 검사(BMD) 결과가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 골밀도 검사(BMD, DXA 검사): T-score -2.5 이하일 경우 진단
- 골절이 동반된 경우: 치료제(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 등) 건강보험 적용
산정특례 적용 여부
- 일반적인 골다공증(M81) 단독으로는 산정특례 적용이 어렵지만,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M80)**은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4. 골다공증과 유사한 질환 코드
- M83 : 골연화증 (Osteomalacia)
- M84 : 비정형 골절 (Atypical fracture)
- M85 : 기타 골 밀도 및 구조 이상
골다공증을 정확하게 진단받고 치료받기 위해서는 정형외과 또는 내분비내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반응형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오십견 완벽 치료 방법과 질병코드 총정리 (1) | 2025.03.18 |
---|---|
퇴행성 관절염 치료방법과 질병코드 총정리 (0) | 2025.03.18 |
수족구병 증상과 치료 방법, 질병코드 완벽 정리 (0) | 2025.03.17 |
소아 천식 원인, 증상, 치료 방법과 질병코드 완벽 정리 (0) | 2025.03.17 |
통풍 원인부터 치료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