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부비동염, Sinusitis)은 코 주변 부비동(코와 연결된 얼굴 뼈 속 공기 주머니)에 염증이 생겨 고름(농)이 차는 질환입니다. 보통 감기나 알레르기, 세균 감염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얼굴 통증, 두통, 후각 저하, 기침 등이 나타납니다. 축농증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급성은 4주 이내에 회복되지만, 만성 축농증은 1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은 질병코드(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체계를 통해 분류되며,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양한 코드가 적용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이 코드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청구, 진단 기록 관리, 통계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축농증의 주요 질병코드와 치료법, 관리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축농증의 주요 질병코드
축농증의 기본 질병코드
축농증의 대표적인 질병코드는 J32이며, 부비동의 위치와 만성 여부에 따라 세부 코드가 나뉩니다.

- J32 – 만성 부비동염(Chronic sinusitis)
- 12주 이상 지속되는 부비동염을 의미
- 반복적인 염증과 농이 차는 증상이 특징
부비동 위치별 세부 질병코드
부비동은 위치에 따라 전두동(이마), 사골동(눈 사이), 상악동(볼 주변), 접형동(코 깊숙한 부위)으로 나뉩니다.
- J32.0 – 만성 상악동염(Chronic maxillary sinusitis)
- 가장 흔한 축농증 유형
- 코막힘, 콧물, 치통, 얼굴 압통 발생
- J32.1 – 만성 전두동염(Chronic frontal sinusitis)
- 이마 부위의 부비동에 염증이 생긴 경우
- 심한 두통과 안구 통증 동반
- J32.2 – 만성 사골동염(Chronic ethmoidal sinusitis)
- 코 뿌리와 눈 사이 부위에 위치
- 콧물, 눈 주위 압통, 후각 저하 발생
- J32.3 – 만성 접형동염(Chronic sphenoidal sinusitis)
- 두개골 깊은 곳에 위치한 부비동에 염증 발생
- 두통, 어지러움, 목 뒤쪽 통증 동반
- J32.4 – 만성 범부비동염(Pansinusitis)
- 모든 부비동에 염증이 생긴 경우
- 심한 코막힘, 지속적인 콧물, 후각 저하 발생
- J32.8 – 기타 명시된 만성 부비동염(Other chronic sinusitis)
- 위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특수한 만성 부비동염
- J32.9 – 상세불명의 만성 부비동염(Unspecified chronic sinusitis)
- 명확한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만성 부비동염
급성 축농증 질병코드
급성 축농증은 일반적으로 감기 후 발생하며, 증상이 비교적 짧게 지속됩니다.
- J01 – 급성 부비동염(Acute sinusitis)
- 4주 이내에 회복되는 급성 염증
- J01.0 – 급성 상악동염(Acute maxillary sinusitis)
- J01.1 – 급성 전두동염(Acute frontal sinusitis)
- J01.2 – 급성 사골동염(Acute ethmoidal sinusitis)
- J01.3 – 급성 접형동염(Acute sphenoidal sinusitis)
- J01.4 – 급성 범부비동염(Acute pansinusitis)
축농증의 주요 증상

- 지속적인 코막힘
- 노란색 또는 녹색 콧물
- 얼굴 통증 및 압박감(특히 눈 주변, 이마, 뺨)
- 두통과 집중력 저하
- 구취(입 냄새) 발생
- 후각 저하
- 기침, 인후통(특히 밤에 심해짐)
축농증 치료 및 관리 방법
1. 약물 치료
- 항생제(세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 아목시실린, 세팔로스포린 계열
- 비충혈 완화제(코막힘 완화) – 오트리빈, 나조넥스 등
- 항히스타민제(알레르기성 축농증 완화) – 세티리진, 로라타딘
-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 코 점막의 염증 감소
2. 가정 요법
- 생리식염수 세척 – 비강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점액 제거
- 수증기 흡입(스팀 테라피) – 콧속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
- 수분 섭취 – 콧물 배출을 원활하게 함
3. 생활 습관 관리
- 공기청정기 사용 및 습도 조절 – 먼지와 건조한 공기 차단
- 알레르겐 회피(먼지, 꽃가루, 애완동물 털 등)
- 음주 및 흡연 금지 – 점막 자극 방지
4. 수술적 치료(만성 축농증)
- 내시경 부비동 수술(ESS, Endoscopic Sinus Surgery) – 비강을 넓혀 염증 배출
- 부비동 세척술(부비동 삽입 튜브 사용) – 부비동의 염증 물질 제거
축농증 예방 방법
- 감기 예방(손 씻기, 면역력 강화)
- 비강 청결 유지(생리식염수 세척)
- 적절한 실내 습도 유지(40~60%)
- 흡연 및 술 섭취 제한
축농증(부비동염)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축농증(부비동염, Sinusitis)은 코 주변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 고름(농)이 차는 질환입니다. 감기, 알레르기, 세균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코막힘, 콧물, 두통, 얼굴 통증 등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만성 축농증의 경우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치료가 쉽지 않기 때문에 면역력 관리와 식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식습관을 통해 부비동 건강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항염 효과가 있는 음식, 면역력을 높이는 음식, 점액 배출을 돕는 음식이 축농증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축농증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올바른 식습관을 소개합니다.
축농증에 좋은 음식
항염 효과가 뛰어난 음식
축농증은 염증성 질환이므로 항염 작용을 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 강황(울금) – 강력한 항염 효과를 가진 커큐민 성분 함유
- 생강 –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있어 코막힘 완화
- 마늘 – 항균 작용이 뛰어나 세균 감염 예방
- 양파 – 퀘르세틴 성분이 염증을 줄이고 면역력을 강화
점액 배출을 돕는 음식
부비동 내 점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면 코막힘이 완화되고 회복 속도가 빨라집니다.
- 배 – 기관지 보호 및 점액 제거에 효과적
- 도라지 – 점액 배출을 촉진하며 기침 완화
- 무 – 가래 제거 및 코막힘 완화 효과
- 꿀 – 항균 작용이 있으며, 목과 코 점막을 보호
면역력을 강화하는 음식
면역력이 높아지면 감염을 예방하고 축농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오렌지, 키위, 레몬, 자몽 –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면역력 강화
- 토마토 – 리코펜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함
- 브로콜리, 시금치, 양배추 – 항산화 작용과 함께 점막 보호
점막 건강을 돕는 음식

코 점막을 튼튼하게 유지하면 부비동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견과류(호두, 아몬드, 캐슈넛) – 비타민 E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
- 연어, 고등어, 참치 – 오메가-3 지방산이 염증 완화에 도움
- 올리브유, 아보카도 – 건강한 지방 공급원
수분 보충을 돕는 음식
충분한 수분 섭취는 점액을 묽게 하고 부비동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생수, 녹차, 대추차, 도라지차 – 수분 공급 및 점막 보호
- 수박, 오이, 토마토 – 수분 함량이 높은 식품
축농증에 피해야 할 음식
축농증을 악화시키거나 점액 생성을 증가시키는 음식도 있습니다. 특정 음식은 염증을 증가시키거나 부비동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점액 생성을 증가시키는 음식
- 우유, 치즈,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 일부 사람들에게 점액을 증가시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 밀가루 음식(빵, 국수, 케이크 등) – 점액 생성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
염증을 증가시키는 음식
- 튀긴 음식, 패스트푸드 – 트랜스지방이 포함되어 염증 반응을 유발
- 가공육(햄, 소시지, 베이컨) – 보존료와 화학 첨가물이 염증을 유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
- 땅콩, 견과류(일부 알레르기 유발 가능)
- 갑각류(새우, 게, 오징어 등) – 히스타민 반응을 유발하여 코막힘 악화 가능성
과도한 나트륨이 포함된 음식
- 라면, 짠 음식, 가공식품 – 부종을 유발하여 부비동의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음
카페인과 알코올
- 커피, 에너지 음료 – 카페인이 탈수를 유발할 수 있어 수분 보충이 어려움
- 맥주, 와인, 소주 – 점막을 자극하고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음
축농증 환자를 위한 추천 식단

아침
✅ 도라지 배즙 + 생강차
✅ 오트밀 + 견과류 + 키위
점심
✅ 연어구이 + 현미밥 + 브로콜리 무침
✅ 두부 된장국 + 김치 + 나물반찬
저녁
✅ 닭가슴살 샐러드 + 올리브유 드레싱
✅ 토마토 스프 + 통밀 빵
간식
✅ 블루베리와 아몬드
✅ 꿀물 또는 대추차
축농증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1. 축농증이 있을 때 우유를 마셔도 되나요?
우유는 점액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한 경우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축농증 환자는 어떤 차를 마시는 것이 좋은가요?
생강차, 도라지차, 대추차, 녹차 등이 점막을 보호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축농증이 있을 때 매운 음식을 먹어도 되나요?
일시적으로 코가 뚫리는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점막을 자극하여 장기적으로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4. 축농증 환자는 어떤 과일을 먹으면 좋나요?
오렌지, 키위, 레몬, 자몽 등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이 도움이 됩니다.
5. 축농증이 있을 때 견과류를 먹어도 되나요?
견과류는 오메가-3가 풍부하여 도움이 되지만,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합니다.
6. 축농증 환자는 카페인을 섭취해도 괜찮나요?
카페인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어 과도한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축농증 환자는 어떤 국을 먹으면 좋나요?
된장국, 닭고기 수프, 생강차 등이 점액 배출을 돕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8. 축농증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식습관은 무엇인가요?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 섭취, 충분한 수분 보충, 항염 효과가 있는 음식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축농증은 감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1~2주 내에 회복되지만, 축농증은 부비동 내 염증이 지속되면서 고름이 차고 장
기간 증상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10. 축농증이 심해지면 어떤 합병증이 발생하나요?
만성 축농증이 심해지면 안구 주위 감염, 뇌수막염, 중이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축농증에 좋은 음식은 무엇인가요?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오렌지, 레몬), 생강차, 마늘, 도라지 등이 점액 배출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12. 축농증은 자연적으로 치료될 수 있나요?
경미한 급성 축농증은 면역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만성 축농증은 치료가 필요합니다.
13. 축농증에 스테로이드 약물을 사용해도 되나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 가능하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코 점막 위축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4. 축농증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일반적으로 1~2주 정도 소요되며, 완전 회복까지는 약 4~6주가 걸립니다.
15. 축농증과 알레르기 비염을 구별하는 방법은?
축농증은 점액이 노랗거나 녹색을 띠며 얼굴 통증이 동반되지만, 알레르기 비염은 투명한 콧물과 재채기가 주된 증상입니다.
백내장의 원인과 초기 증상, 예방 및 치료 질병코드별 보험금 청구 총정리
백내장은 수정체(눈 안의 투명한 렌즈)가 점차 혼탁해지면서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노화로 인해 발생하지만, 당뇨병, 외상,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
digital-nodaji.tistory.com
위염(K29.7) 질병코드 총정리 및 치료법
위염(K29.7)은 위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위산 과다 분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약물 복용, 과음,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위염은 단
digital-nodaji.tistory.com
고혈압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하는 방법
고혈압(고혈압증, Hypertension)은 혈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진단됩니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장기간 지속
digital-nodaji.tistory.com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통이 심할 때 도움 되는 음식과 효과적인 완화 방법 (0) | 2025.03.26 |
---|---|
알레르기 증상 및 검사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3.25 |
피부 아토피 증상 및 가려움 완화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3.25 |
천식 질병코드 치료 방법, 천식에 좋은 음식 추천 (1) | 2025.03.25 |
내려앉은 잇몸(치은퇴축) 치료 방법 통증 관리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