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정보

Fleming's Triangular Wisp(2023-11-21)NASA 우주사진

디지탈노다지 2023. 11. 21. 22:11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지탈노다지입니다.

미국 NASA에서 제공하는 오늘의 우주 사진을 공유합니다.

어떤 우주의 모습을 비춰줄까요?

우선, 사진부터 감상하시죠!

 

이 멋진 사진의 제목은 Fleming's Triangular Wisp 입니다.

NASA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한 설명을 보시죠.

 

These chaotic and tangled filaments of shocked, glowing gas are spread across planet Earth's sk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Cygnus as part of the Veil Nebula. The Veil Nebula itself is a large supernova remnant, an expanding cloud born of the death explosion of a massive star. Light from the original supernova explosion likely reached Earth over 5,000 years ago. The glowing filaments are really more like long ripples in a sheet seen almost edge on, remarkably well separated into the glow of ionized hydrogen atoms shown in red and oxygen in blue hues. Also known as the Cygnus Loop and cataloged as NGC 6979, the Veil Nebula now spans about 6 times the diameter of the full Moon. The length of the wisp corresponds to about 30 light years, given its estimated distance of 2,400 light years. Often identified as Pickering's Triangle for a director of Harvard College Observatory, it is perhaps better named for its discoverer, astronomer Williamina Fleming, as Fleming's Triangular Wisp. New: Follow APOD on Telegram

 

이 혼란스럽고 뒤엉킨 충격적이고 빛나는 가스의 필라멘트들은 베일 성운의 일부로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행성 지구의 하늘을 가로질러 퍼져있다. 베일 성운 자체는 거대한 초신성 잔해로, 거대한 항성의 죽음의 폭발로 탄생한 팽창하는 구름이다. 원래 초신성 폭발에서 나온 빛은 5,000년 전에 지구에 도달했을 것이다. 빛나는 필라멘트는 거의 가장자리에 보이는 시트의 긴 잔물결에 가까우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이온화된 수소 원자의 빛과 파란색으로 표시된 산소로 현저하게 잘 분리되어 있다. 백조자리 고리로도 알려져 있고 NGC 6979로 분류된 베일 성운은 현재 보름달 지름의 약 6배에 걸쳐 있다. 와스프의 길이는 약 30광년에 해당하며, 2,400광년으로 추정된다.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책임자를 위한 피커링의 삼각형으로 종종 알려져 있지만, 발견자인 천문학자 윌리엄이나 플레밍의 삼각형 위스프로 더 잘 명명되어 있을 것이다. 새로움: 텔레그램에서 APOD 팔로우

 

우주의 다양한 모습은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광활하며 거대합니다. 형형색색 변화하며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주네요~ 가볼 수는 없지만 이렇게 사진으로 볼 수 있어서 좋네요!

디지탈노다지는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남은 하루도 행복하세요~

 

반응형